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리아 몬테소리 유아심리발달교육의 이해

상담 심리학/교육 심리학

by 셀리스트 2023. 4. 27. 13:36

본문

반응형

아동이 얼마나 열렬히 독립과 일할 기회를 추구하며 열정과 사랑과 같은 위대한 보물을 갖고 있는지를 성인인 우리가 깨달을 때 아동은 기적을 행하게 된다.     

 

- 마리아 몬테소리 -

 

마리아 몬테소리 교육은 독특한 유아관에서 출발하였다. 즉, 몬테소리교육은 '새로운 유아'를 발견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예전의 유아관은 일반적으로 성인과 유아의 관계가 압박자와 피압박자의 관계로 이해되었다. 유아는 비어 있는 그릇과 같아서,  성인들이 그릇을 채워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유아는 성인을 본보기로 과오를 교정해야 하며, 유아가 갖고 있는 성인과 다른 점은 모두 결점이 된다고 하던 시대였다.

 

마리아 몬테소리에 의하면 유아의 성장과정은 '내면 지향적'이라고 부르는 보이지 않는 능력에 지배된다고 하며, 성장하고 있는 유아의 육체적인 에너지와 정신적인 에너지의 흐름이 균형을 유지하며 교류한다. 유아 발달을 통해서 두 에너지가 친밀하게 작용해야 되는데, 분리되거나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면 일탈의 현상이 나타난다.

일탈의 경우와 불필요한 성인의 의지가 유아의 의지를 대용해 버리는 경우이다. 이때 심리적으로 유아의 일탈 현상이 일어난다. 몬테소리는 교육의 목적을 일탈된 유아를 정상화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반응형

 

마리아 몬테소리는 유아를 끊임없이 자신을 창조해 가는 무한한 잠재능력을 지닌 자유로운 존재로써, 유아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잠재력을 전개해 나간다고 보았다.

즉, 인간은 외부환경의 자극에 의해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 에너지에 의해 스스로 탐색하고 발전해 가는 능동적인 존재이며, 특히 유아는 선천적으로 특유한 정신적 본성을 지니고 태어나며 성인에 의해 배우기보다는 유아 자신이 스스로 환경과 접하면서 경험을 통해 배운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유아는 축소형이 아니며 그렇게 취급해서도 안되고 분리된 개별적인 생명을 지닌 존재로 인식되어야 한다.

 

마리아 몬테소리는 성인 유아를 인격체로서 존중해야 하며, 발달단계에 따라 성장하고, 발달속도에서 개인차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개개의 유아가 갖는 성장의 가능성 및 준비성의 실현을 위하여 각 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개별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보았다.(Gottstein, 1984)

유아에 대한 관찰에 기초하여 유아 중심의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환경을 창조해 나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리아 몬테소리의 아동관은 민감기,  흡수정신 및 유아의 정신내적 항상성(psychic pattern)의 이해 등을 포함하여 이해할 수 있다.

 

 

2023.04.06 - [상담 심리학/아동발달] - 20~36개월 우리 아이 100가지 놀이로 키우기(1~5)

 

20~36개월 우리 아이 100가지 놀이로 키우기(1~5)

1. "후" 촛불 끄기 전등을 끈 후 촛불을 여러 개 켜 놓으세요. 촛불의 예쁜 불꽃이 아이의 시각과 감성을 자극할 거예요. 1) "하나, 둘, 셋" 구령에 맞추어 촛불을 꺼보게 하세요. 2) 여러 개의 촛불

psychologymind.tistory.com

2024.04.24 -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 틱장애의 90%가 경험하는 전조 감각 충동(Premonitory Urge)

 

틱장애의 90%가 경험하는 전조 감각 충동(Premonitory Urge)

틱장애의 90%가 경험하는 전조 감각 충동(Premonitory Urge) 전조 감각 충동이란 틱 증상 발현 전에 나타나는 전조증상으로, 틱 행동을 하기 직전에 올라오는 신체적 감각이다. 전조 감각 충동을 느끼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2.27 - [임상심리학/DSM-5] -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DSM-5진단기준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DSM-5진단기준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DSM-5진단기준<span style..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