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성격이 건강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건강한 성격을 갖게 되기를 원하겠지요. 건강한 성격' 에 대한 정의로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따라서 주로 나쁜 점만을 찾는 사람의 성격은 그만큼 건강하지 못하다는 뜻이기도 하겠지요. 당신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좋은 점을 찾고 계신가요? 아니면 나쁜 점만 주로 찾으며 비판하고 불평하고 계신가요? 그것이 첫 번째 측정 기준이 된다는 것을 기억해 할 것입니다.
대부분의 불행과 심신질환은 용서하는 능력의 결핍, 즉 사건이 이미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원한을 품기 때문에 생긴다고 합니다. 사실 용서하는 행위 자체만으로도 해방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네요. 건강한 성격을 지닌 사람들은 미워하지도 않고 과거의 일에 대해 분노와 원한을 품지도 않습니다. 그들은 마음속에서 지나간 좋지 않은 문제들을 털어버리고 흘려보낼 줄 아는 여유가 있는 사람들입니다.
누구나 몇몇 사람과는 잘 지낼 수 있습니다. 또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자신과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과는 항상 잘 지낼 수 도 있을 것입니다. 심리적으로 건강한 성격을 지닌 사람들은 다른 기질과 다른 성격, 다른 태도, 다른 가치관, 다른 의견을 가진 수많은 다양한 사람들과 잘 지내는 특징을 보입니다. 자기 존중감과 성격의 건강한 정도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자신이 가치 있고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다른 사람들도 가치 있고 훌륭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이지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수록 다른 사람들도 그 자체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입니다. 자부심이 향상되면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사람들과 더 오랫동안 잘 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삶이 더 행복하고 충실해질 수 있습니다. 자부심이 높은 사람들은 누구하고나 어디에서든, 어떤 상황에서든 잘 지낼 수 있습니다.
반면 자부심이 낮은 사람들은 소수의 사람들에 한해서만 잘 지낼 수 있고, 또 그 마저도 오래가지 못합니다.
그들은 자기 자신을 좋아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다른사람들을 좋아하지도 않습니다. 그에 대한 결과는 다른 사람들도 그들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돌아옵니다.
2023.06.20 - [철학과 심리학] - [카네기 인간관계론] 리더가 되기 위한 50가지 실천명언
[카네기 인간관계론] 리더가 되기 위한 50가지 실천명언
[카네기 인간관계론] 리더가 되기 위한 50가지 실천명언 1. 사람을 대하는 법은 바로 그 사람이 되려고 하는 것이다. 2. 인간은 인간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다. 3.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알아내고 그
psychologymind.tistory.com
인간관계에서 품위를 지키는 대화의 기술 (0) | 2024.07.28 |
---|---|
인간관계를 위한 우회노력의 법칙(The Law of Indirect Effort)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