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은 유한하지만 후손들에 의해 그들의 삶은 반복되고 시간을 뛰어넘어 새로운 역사가 만들어집니다. 최근 혼란스러운 정국을 해석하면서 세대와 시간을 거슬러 나타나는 '평행이론'이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평행이론의 예 - 에이브러햄 링컨과 존 F 케네디, 잔 다르크와 유관순, 이순신과 호레시쇼 넬슨,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아돌프 히틀러 등 |
가족 안에서 반복되는 평행이론을 보면 때론 단순한 우연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사건들도 많습니다. 상담에서는 개인의 어려움이 반복되는 이유를 이해할 때 세대 간에 전해져 내려온 핵심감정과 삶의 패턴에 주목합니다. 누구도 알지 못하는 가족의 오랜 역사에 개인이 영향을 받는 것 입니다. 부모가 겪어온 세월들을 실제로 경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정서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오래된 가족의 핵심감정과 삶의 패턴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되고 다시 다음 세대에 이를 전달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역사를 이어갑니다.
이러한 패턴은 세대를 거슬러 전해지기도 하지만 한 개인의 삶 안에서 반복되기도 합니다. 누군가와 사랑하고 이별하는 모습, 두려움에 직면할 때 이에 대처하는 방법, 학교나 직업 현장에서 성취해 나가는 모습 등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됩니다.
치료를 한다는 것은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내담자가 직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개인이 이러한 패턴이 문제가 된다고 인식하지 못하는 것과 끝까지 자신의 문제를 '문제'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에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살면서 불편함과 갈등이 끊임없이 이어지는데 그러한 어려움이 자신의 문제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물론 만성화된 패턴은 쉽게 변화되지 않지만 내담자가 스스로 변화의 필요성만 인식해도 치유를 향한 건강한 에너지들이 나옵니다. 잘 형성된 상담관계 안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두려워하지 않고 문제가 되는 삶의 패턴을 보도록 조력합니다. 그 힘든 과정에서 내담자의 상황에 진정으로 공감하고 온전한 지지자의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상담관계가 아니더라도 살면서 내 삶에 진심으로 공감해 줄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만 있어도 살아갈 동력이 될것입니다. 하지만 누군가가 일방적으로 자신에게 도움을 주고, 이해해 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은 생각입니다. 그런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사람을 알아볼 수 있는 현명함이 필요합니다.
주변에 그런 사람이 없는 것은 어쩌면 자신이 가진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항상 듣기 좋은 말만 듣고자 하고 작은 충고도 공격으로 받아들이는 사람, 자신을 냉정하게 대하는 사람에게 인정받기 위해 애정을 갈구하는 사람 등 심리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거리를 두는 관계를 이들은 포기하지 못하고 반복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결국 인간관계는 한 사람의 일방적인 문제이기보다는 자신과 서로 다름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C군 성격장애(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s)의 분류 -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6(F60.7) 돌봄을 받고자 하는 광범위한 지나친 욕구가 복종적이고 매달리는 행동과 이별 공포를 초래하며,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4.11 - [심리건강치유] - [유산균과 정신건강] 우울증 완화에 효과 있는 유산균
[유산균과 정신건강] 우울증 완화에 효과 있는 유산균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울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세로토닌은 우리의 뇌에서 10%정도, 나머지 90%는 장
psychologymind.tistory.com
뮌하우젠증후군(Munchausen's syndrome)- 꾀병을 부리거나 자해로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는 증상 (0) | 2023.03.06 |
---|---|
청소년들의 아노미(anomie)현상 (0) | 2023.03.05 |
"새학기증후군" 가정에서 해결할 수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0) | 2023.03.02 |
사회심리학현상과 언어 (0) | 2023.03.01 |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 자가진단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