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강박증(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 의 증상과 특징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by 셀리스트 2023. 2. 22. 15:20

본문

반응형

강박증(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의 증상과 특징

 

 

강박사고는 침투적이고 반복적인 사고, 충동 또는 심상으로, 불쾌함을 유발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이러한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강박적으로 정신적 또는 육체적 행위에 몰두하게 만든다. 이러한 강박행동 또는 의례행동은 외현적인 행동일 수도 있고, 정신적인 조작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손을 씻고, 주변을 청소하고, 순서대로 물건을  배열하거나 정리하며, (전등, 난로,  수도꼭지, 자물쇠, 신문 등을 ) 확인하고, 안심을 얻고자 사람들에게 반복적으로 질문한다. 이들은 또한 기도하고, 숫자를 세며, 나쁜 심상을 교정하기 위해 좋은 심상을 만들어 내고, 마음속으로 확인하고, 말없이 단어들을 반복하며, 스스로에게 안심을 구하려 노력한다. 

 

Freeston과 Landouceur(1997)는 흔히 중화시키는(neutralizing) 사고 및 행동이라 불리는 것들의 다양한 형태를 연구해 왔다. 여기에는 하나의 생각을 다른 생각으로 대체하는 것, "그만!" 이라고 말하는 것, 마술적으로 상황을 되돌리고자 노력하는 것, 단순히 어떤 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주의 깊게 생각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이는 대처 전략이라고 불리기도 하나 종종 정신적 의례와 구별하기가 어렵다. 치료시 우리의 목표는 환자의 강박적인 고통을 감소시키는 어떠한 사고나 행위도 의례로 간주하며, 인지치료를 통해 환자들이 이러한 의례들을  감소시키거나 전부 없애도록 돕는 것이다.

 

*중화행동: 강박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중화시키기위해 하는 행동(예- 지속적인 가스밸브확인, 지속적인 스위치 확인, 손을 반복적으로 씻는 행동 등) 이러한 중화행동(강박행동)을 하며 불안감은 일시적으로 줄어들 순 있어도 강박사고는 더 자주 침투하는 결과를 야기시킨다.

 

치료자도 알게 되겠지만, 이 책에서 기술하는 인지치료는 특히 정신적 의례와 '중화' 대처 전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환자들은 강박사고로 인한 고통이 사라질 때까지 강박적인 의례를 수행한다. 때때로 어떤 환자들의 경우에는 의례를 지연시킬 수 있지만, 의례를 전혀 하지 않는 일은 드물다. 대부분의 강박행동은 위험을 방지하거나 실수를 교정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는 거의 항상 실제 위협에 비해서는 과도한 것이다.

 

반응형

그러나 대부분의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은 어느 정도 사실적인 요소들도 있다. 위험에 대하여 확신을 얻기 힘든 '회색'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예를 들어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난로를 확인하는 행동은 제한적인 근거 내에서는, 즉 반복적이거나 언제나 그런 것이 아니라면 어떤 상황에서는 현명한 것이다.

 

농약이나 유독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사실이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요소들에 대해 어느 정도 노출되는 것을 견디며, 심리저 미 환경보호국에서조차 화학약품에 매우 제한된 접촉을 방지하고자 노력한다.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APA(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에 따르면 강박증은 불안장애에 속한다. 확실히 불안은 강박증의 핵심 특성이 되며 이때 죄책감이나 수치심과 같은 다른 정서도 동반된다.  강박증은 시간을  소비하고(하루에 한 시간이상),  고통을 주고, 가정, 사회, 직업 상황에서의 기능을 두드러지게 방해한다.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GAD)에서 나타나는 걱정의 경우 실생활에의 문제들, 즉 직업수행, 재정담보, 건강과 같은 문제들에 대한 것이란는 점에서 강박사고와는 다르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건강염려증, 신체변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BDD), 거식증, 폭식증의 경우에도 환자가 가지는 두려움이 특징적으로 신체증상과 외모에 대한 염려를 주 내용으로 가지기는 하나, 정신적, 정서적, 행동적(의례화된 대처전략) 증상 유형이라는 점에서는 유사성을 가진다. 강박증과 이러한 장애들 간의 구조적인 유사성을 고려해 볼 때, 여기에서 기술하는 인지치료의 기법 중 많은 부분들이 또한 상기한 다른 장애들에게서도 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출처 - 강박증의 인지치료

Sabine Wilhelm, Gail S Steketee지음<시그마프레스>

 

 

2023.03.13 - [정신분석/융의 분석심리학] -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과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과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과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 스위스 출신의 심리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이론이다. 칼 구스타프 융은 마음, 즉 인격을 의식과 무의식으로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