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기준
과대성(공상 또는 행동상), 숭배에의 요구, 감정이입의 부족이 광범위한 양상으로 있고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대한 느낌을 가짐(예, 성취와 능력에 대해서 과장한다. 적절한 성취 없이 특별대우받기를 기대한다)
2. 무한한 성공, 권력, 아름다움, 이상적인 사랑과 같은 공상에 몰두
3. 자신의 문제는 특별하고 특이해서 다른 특별한 높은 지위의 사람(또는 기관)만이 그것을 이해할 수 있고 또는 관련해야 한다는 믿음
4. 과도한 숭배를 요구함
5. 특별한 자격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짐
(즉, 특별히 호의적인 대우를 받기를, 자신의 기대에 대해 자동적으로 순응하기를 불합리하게 기대한다)
6. 대인관계에서 착취적임(즉,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타인을 이용한다)
7. 감정이입의 결여: 타인의 느낌이나 요구를 인식하거나 확인하려 하지 않음
8. 다른 사람을 자주 부러워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시기하고 있다는 믿음
9. 오만하고 건방진 행동이나 태도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2023.04.03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현 인지이론에서는 편집증을 ‘자기(self)’에 대한 위협과 방어로 보고 있다. Zigler와 Glick(1988)의 이론에서는, 편집증은 낮은 자존감에 대한 방어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05 - [임상심리학/DSM-5] - 제 1형 양극성장애(Bipolar I Disorder) 진단적 특징
제 1형 양극성장애(Bipolar I Disorder) 진단적 특징
제 1형 양극성장애(Bipolar I Disorder) 진단적 특징 Diagnostic Features 조증 삽화의 핵심적인 양상은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의기양양하거나, 과민한 기분, 그리고 활동과 에너지의 증가가 적어도 일주
psychology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