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기준을 충족한다.
B. 장애는 서서히 시작하고 점전적으로 진행한다.
C. (1)또는 (2)를 충족한다.
1. 행동 변형:
a. 다음 행동 증상들 중 3개 이상:
i. 행동 탈억제
ii. 무감동 또는 무기력
iii. 동정 또는 공감의 상실
iv. 반복적, 상동적 또는 강박적/의례적 행동
v. 과탐식과 식이 변화
b. 사회 인지 그리고/또는 집행 능력의 뚜렷한 저하
2. 언어 변형
a. 언어 생산, 단어 착기, 물건 이름 대기, 문법 또는 단어 이해에서 언어 능력의 뚜렷한 저하
D. 학습, 기억 그리고 지각-운동 기능의 상대적 보존
E. 장애는 뇌혈관 질환,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 물질의 효과, 또는 다른 정신, 신경학적, 전신 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거의 확실한 전두측두엽 신경인지장애는 다음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에 진단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능성 있는 전두측두엽 신경인지장애로 진단한다.
1. 가족력 또는 유전자 검사에서 전두측두엽 신경인지장애의 원인이 되는 유전적 돌연변이의 증거
2. 뇌영상에서 전두엽 그리고/ 또는 측두엽에 치우쳐 침범된 병변의 증거
가능성 있는 전두측두엽 신경인지장애는 유전적 돌연변이의 증거가 없고 뇌영상이 수행되지 않았을 때 진단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거의 확실한 전두측두엽 변성으로 인한 주요 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먼저 G31.09 전두측두엽 질환을 부호화하고, 그 뒤에 F02.81을 기록한다. 거의 확실한 전두측두엽 변성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 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 먼저 G31.09 전두측두엽 질환을 부호화하고, 그 뒤에 F02.81을 기록한다.
가능성 있는 전두측두엽 변성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 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 먼저 G31.09 전두측두엽 질환을 부호화하고 그 뒤에 F02/81을 기록한다. 가능성 있는 전두측두엽 변성으로 인한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 행동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 먼저 G31.09 전두측두엽 질환을 부호화하고, 그 뒤에 F02.80을 기록한다.
전두측두엽 변성으로 인한 경도 신경인지장애는 G31.84로 부호화한다(주의점: 전두측두엽 질환에 대한 부가적 부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행동 장애는 부호화할 수 없지만 그래도 글로 기입해야 한다).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2023.03.03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청소년 우울증의 인지행동치료
청소년 우울증의 인지행동치료
청소년 우울증의 인지행동치료 우울증은 사춘기 이전에도 매우 심각한 문제일 수 있고 우울증상과 우울장애의 유병율은 청소년기에 급격하게 증가한다(Angold et al., 1999; Avenevoli &Steinberg, 2001; Birm
psychology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