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발모광 (Trichotillomania)의 원인과 치료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by 마음건강클리닉 2023. 2. 27. 16:57

본문

반응형

 

발모광 (Trichotillomania)의 원인과 치료

1) 역학

발모광은 과거에는 단순히 습관성장애 또는 정신병의 증상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강박신경증의 범주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DSM-III-R부터 충동조절장애에 포함되기 시작했으며 DSM-5에서는 다시 강박장애의 범주로 분류 된다. 많으면 2% 정도 된다고도 했으나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는데, 이는 환자들이 비밀로 하기 때문인듯 하다. 성비로는 여자가 병원을 찾아오는 수가 더 많은 편이다. 가족 내에 탈모증이 빈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강박장애, 강박형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우울장애에서도 병발될수 있다.

2) 원인

모자관계의 이상, 고립에 대한 공포, 최근의 상실 경험, 우울한 상황 등의 스트레스 외에도 약물중독이 중요한 원인이다. 발모의 일차적 목적이 자기 자극이라고도 했다. PET 검사결과 전반적으로 뇌대사가 증가했으며, 특히 우측 상부 두정엽과 좌우측 소뇌의 당대사가 증가하였다.

 


3) 진단과 임상양상

a.반복적인 발모행동과 함께 뚜렷한 모발의 상실이 특징이다.

b. 발모전에는 긴장감을, 발모후에는 다행감, 만족감, 해소감을 느낀다.

c. 두피가 가장 흔한 대상 신체부위이고 다음으로는 눈썹, 속눈썹, 턱수염 순이며, 가슴, 겨드랑이, 음부 등도 대상부위가 될수 있다.

d. 짧고 손상된 모발이 길고 정상적인 모발과 함께 존재하며 피부나 두피는 정상적이다.

e. 발모시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f. 뽑은 털은 먹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장폐색과 같은 후유증도 유발될 수 있다.

g. 머리 박기, 손톱 뜯기, 할퀴기, 물어뜯기 같은 자해 행동이 동반되기도 한다.

h. 대부분은 자신만이 겪는 유일한 병이라고 생각하고 심지어는 배우자에게까지도 감추는 경향이 있다.

i. 아동기에 발병한 발모광은 청소년기 이후 발병한 발모광과는 다르다.

j. 아동기 발생 발모광은 손톱 물어뜯기 같은 습관장애의 일종으로 보며, 이들이 청소년기의 발모광과 같은 장애로 발전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학령기 이전에 환자 중에서 남자가 62% 정도인데 비해, 그 이후의 연령에선 남자가 3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반응형

2023.03.05 - [임상심리학/DSM-5] -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Unspecified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Unspecified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Unspecified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 298.9(F2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psychologymind.tistory.com



4)감별진단

a. 대체로 양성질환이며 강박장애와 병발할 수 있다.

b. 강박장애와 같이 만성적이며, 환자 스스로는 원치 않는 행동으로 받아들인다.

c. 반면, 강박적 사고는 없으며 행동은 발모에만 국한되는 것이 특징이다.

d. 꾀병 또는 인위성 환자들이 의학적 관심을 얻기위해 자해하는 경우도 있다.

e. 원형 탈모증과 감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5) 경과와 예후

대체로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발병하나 이후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아동기 발모광은 비교적 양성이고 자기 제한적인 편이어서 임상경과가 삽화적이고 증상도 완전 소멸되는데 비해 청소년기 이후 발병한 경우엔 만성적이고 생활에의 영향도 심한편이다. 아동기 발모광이 청소년기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 같지는 않다.



6) 치료

a. 최선의 치료법에 대한 동의는 없다.

b. 정신과와 피부과 의사 모두 치료에 동참해야 한다.

c. 국소적 스테로이드,hydroxyzine hydrochloride, 항히스타민 작용의 항불안제, 항우울제, 세로토닌 제제, 항정신약물 등을 투여할 수 있다.

d. 강박장애에 투여하는 clomipramine 이 효과적이며, 최면치료도 시도해 볼 수 있다.



2023.06.08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1. 강박증의 인지치료기법 요약

 

1. 강박증의 인지치료기법 요약

강박증의 인지치료 기법의 요약 1. 강박증 상의 평가 강박증 평가 서식을 사용하여, 환자의 현재 문제와 이러한 문제가 발달되어 온 과정, 부적응적인 사고 및 기저 신념, 이러한 신념이 환자를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10 - [임상심리학/DSM-5] - B군 성격장애(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의 분류 - 반사회성 성격장애

 

B군 성격장애(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의 분류 - 반사회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7(F60.2) A. 15세 이후에 시작되고 다음과 같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는 행동 양상이 있고 다음 중 3가지(또는 그 이상)를 충족한다. 1.

psychologymind.tistory.com

2024.04.24 -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 아타케 데 네르비오스(Ataque de nervios)

 

아타케 데 네르비오스(Ataque de nervios)

아타케 데 네르비오스(Ataque de nervios) 아타케 데 네르비오스Ataque de nervios: "아타케 데 네비르오스(신경 발작)는 라틴계 후손들에게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특징으로는 급성 불안, 분노, 또는 슬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