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M-5 진단기준
A. 공황발작이나 불안이 임상 영역에서 두드러진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상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직접적인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
C.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정신질환의 이름에 기타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진단 앞에 따로 명시한다(예, 293.84 [F06.4] 갈색 세포종으로 인한 불안장애).
기타 의학적 상태는 부호화하여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진단 앞에 따로 명시한다(예, 227.0 [D35.00] 갈색 세포종, 293.84 [F06.4] 갈색세포종으로 인한 불안장애).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진단기준/수면 관련 환기저하(Sleep-Related Hypoventilation)진단기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 진단기준 A. 수면다원 검사에서 수면 시간당 5회 이상의 중추성 무호흡이 존재한다. B. 장애가 다른 수면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4.03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현 인지이론에서는 편집증을 ‘자기(self)’에 대한 위협과 방어로 보고 있다. Zigler와 Glick(1988)의 이론에서는, 편집증은 낮은 자존감에 대한 방어
psychologymind.tistory.com
알코올 중독 장애(Alcohol Intoxication)/명시되지 않는 알코올 관련장애(Unspecified alcohol - Related Disoder)
알코올 중독 (Alcohol Intoxication) 진단기준 A. 최근의 알코올 섭취가 있다. B. 알코올 섭취하는 동안, 또는 그 직후에 임상적으로 심각한 문제적 행동 변화 및 심리적 변화가 발생한다.(예, 부적절한
psychology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