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진단기준/수면 관련 환기저하(Sleep-Related Hypoventilation)

임상심리학/DSM-5

by Mind Athena 2023. 4. 30. 10:50

본문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

진단기준

 

A. 수면다원검사엣 수면 시간당 5회 이상의 중추성 무호흡이 존재한다.

B 장애가 다른 수면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327(G47.31) 특발성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기도 폐색의 증거 없이 호흡 노력의 변동성에 의해 발생하는 수면 중 무호흡증 또는 저 호흡증의 반복적인 삽화가 특징이다.

786.04(R06.3) 체인 스토크스 호흡: 중추성 수면무호흡증과 저 호흡증을 수면 시간당 5회 이상 일으키는 일회 호흡량 Tidal volume이 주기적으로 점점 세지다가 점점 약해지는 변동 양상, 보통 빈번한 각성을 동반한다.

780.57(G47,37) 아편계 사용과 동반이환된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이 아형의 발병 기전은 연수에 위치한 호흡 리듬발생 장치에 대한 아편계의 효과뿐 아니라 저산소 호흡 구동에 대한 차별된 효과에 기인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780.57[47.37]을 부호화할 때에 한함): 아편계사용장애가 있을 때, 아편계사용장애를 먼저 부호화한다. 305.50(F11.10) 경도의 아편계사용장애 또는 304.00(F11.20) 중등도 또는 고도의 아편계사용장애, 그리고 780.57(G47.37) 아편계 사용과 동반이환된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을 부호화한다. 아편계 사용장애가 없을 때(예, 1회의 심한 물질 사용 이후), 780.57(G47.37) 아편계 사용과 동반이환된 중추성 수면무호흡증만을 부호화한다.

주의점: 본문의 "진단적 특징" 부분을 참조하시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는 호흡 장애의 빈도뿐 아니라 반복적인 호흡 장애의 결과로써 발생하는 연관 산소불포화와 수면 분절의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반응형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2023.04.27 -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 불안발작과 공황발작의 원인과 차이점

 

불안발작과 공황발작의 원인과 차이점

안녕하세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불안발작증상과 공황장애 증상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불안발작의 정신분석적원인 정신분석 이론은 무의식적인 갈등과 억제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21 - [정신분석] - 자끄 라깡(신 프로이트학파) : 상상계의 영역은 거울의 전당(hall of mirrors)이다.

 

자끄 라깡(신 프로이트학파) : 상상계의 영역은 거울의 전당(hall of mirrors)이다.

자끄 라깡(신 프로이트학파) : 상상계의 영역 자끄 리깡(1901~1981)은 수십 년 동안 프랑스 정신분석학계를 이끌었고, 그의 연구는 유럽과 남미 정신분석학계에서 지배적 인위 치를 차지한 현대 정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5.05 - [정신의학] -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의 증상과 치료법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의 증상과 치료법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과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의 증상과 치료법 많은 사람들이 알고있고, 또 많은 사람들이 겪고있는 수면무호흡증 종류는 바로 폐쇄성입니다.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