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과 같은 반복행동은 신체적, 대인관계의 문제를 낳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보이는 아동은 감정적으로 힘들어하고 대처법에도 자신감이 떨어지는 경향성을 갖고 있습니다. 반복행동이 나타나는 것에 대한 내담자의 자의식이 커지면서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들의 행동 자체가 수업을 산만하게 만들거나 사회활동이나 방과 후 활동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틱 장애아의 틱행동, 강박행동 혹은 다른 상동증적 행동(예, 발모증, 말 더듬, 손톱 물어뜯기와 기타 신경성 습관)을 가진 사람들의 틱 빈도를 줄이기 위해 행동개입을 하게 됩니다.
습관반전은 치료하고자 하는 습관의 '반전' 혹은 반대되는 습관을 개인이 꾸준히 연습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그래서 자신의 손톱을 반복적으로 깨무는 사람은 손톱을 깨무는 것 대신 사물을 잡고 있도록 가르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내담자는 습관의 빈도를 기록하도록 교육받습니다. 습관에 대한 알아차림을 증가시키는 것이 치료에서 중요한 단계인데, 그러기 위해서 내담자가 거울로 자신을 하고 그 습관에 대해 자세히 진술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습관을 저지르게 될 조짐을 파악하고 탐지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습관을 저지르게 될 조짐을 파악하고 탐지하도록 내담자를 가르칠 것을 권고했습니다. 일단 아동이 그 행동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차리면 경쟁반응을 하도록 지시합니다.
습관의 빈도나 기간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자기 감찰과 효과 검토에 유용합니다. 시각적 도표나 차트는 그 습관의 빈도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줘서 치료를 계속하도록 아동의 동기를 북돋을 것입니다.
자폐스펙트럼내담자가 경험하는 보속증(preserverative behaviors)과 자기자극행동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 뽑기, 입에 손가락 넣기 행동에 대해서는 손가락 밴드 혹은 고무장갑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먹쥐기' 혹은 '스트레스 볼 같은 장난감을 꽉 쥐기'는 손과 손가락을 써야 같은 느낌의 물건 만지작거리기 등의 경쟁반응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물 마시기' 혹은 '심호흡'은 음식 틱이나 끙끙 소리 내기와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습니다. 음식 틱에 대한 경쟁반응으로 느리고 부드러운 말을 제안했습니다.
추가적으로 그들은 눈 근육 틱을 다뤄주기 위해 2초마다 리드미컬한, 통제된 눈 깜박임을 사용했다. 목 스트레치 운동은 머리 흔들기에 대한 경쟁반응이 될 수 있습니다.
발모증을 치료하기위한 많은 특정 행동 전략들을 제공했는데 운동피드백과 감각피드백을 증가시키기 위해 탄력 팔꿈치 보호대 뿐만 아니라 손목과 손가락에 향기를 사용할 것을 추천했습니다. '안경이나 선글라스 쓰기', '머리 뒤로 묶기', '머리 염색'과 '손톱단장하기'는 반응예방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주먹쥐기, 고무찰흙, 걱정구슬, 실리퍼티 꽉 쥐기, 뜨개질 구슬 공예와 수예로 경쟁반응 훈련을 시킬 것을 제안했습니다. 강화가 감각자극으로부터 얻어진다면 그 부위를 솔로 빗거나 스펀지로 문지르면 유용할 것입니다. 또한 아동이 머리카락을 물어뜯거나 먹는다면 질감이 많은 셀러리, 당근, 캔디, 같은 아삭한 음식을 사용하면 좋을 것으로 제안했습니다.
환각제관련장애[Hallucinogen-Related Disorders] - 기타 환각제 사용장애(Other Hallucinogen Use Dis
기타 환각제 사용장애(Other Hallucinogen Use Disorder)진단기준 A. 임상적으로 현저한 손상이나 고통을 일으키는 문제적 환각제(펜시클리딘 이외) 사용 양상이 지난 12개월 사이에 다음의 항목 중 최소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5.16 - [임상심리학/DSM-5] - 물질/치료약물로 유발된 수면장애(Sunstance/ Medication-Induced Sleep Disorder) 진단기준
물질/치료약물로 유발된 수면장애(Sunstance/ Medication-Induced Sleep Disorder) 진단기준
물질/치료약물로 유발된 수면장애 (Sunstance/ Medication-Induced Sleep Disorder) 진단기준 A. 수면에 있어서의 현저하고 심각한 장애가 있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 (1)과 (2) 둘 다의 증거가
psychologymind.tistory.com
피학증환자의 통제권 유지하기[심리치료 실제에서의 면담] (0) | 2024.10.21 |
---|---|
[강박증의 인지치료] 강박증의 인지적 신념 유형(Type of OCD Beliefs) (2) | 2024.10.21 |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치료기법 : (사례개념화의 중요성) (0) | 2023.07.09 |
우리의 마음과 신체가 원하는 수행 - 명상의 의미와 스트레스에 주는 효과 (0) | 2023.07.03 |
4회기 - 강박증의 인지치료교육(회기별 치료방법과 지침)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