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애성 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의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by 셀리스트 2023. 3. 8. 22:40

본문

반응형


자기애성 장애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의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자기애성 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는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로 인한 특권의식을 지니고 타인에게 착취적이거나 오만한 행동을 나타내어 사회적인 부적응을 초래하는 성격을 말한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건강한 것이다. 그러나 자기사랑이 지나쳐서 자신을 비현실적으로 과대평가하고 타인을 무시하며 자기중심적인 행동을 나타내게 되면 대인관계의 갈등과 부적응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자기애성 성격장애라고 한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공상이나 행동에서의 웅대성, 칭찬에 대한 욕구, 공감의 결여가 생활전반에 나타나며 다음의 특성 중 5개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켜야 한다.

(1)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지각을 갖고 있다(예: 자신의 성취나 재능을 과장함, 뒷받침할만한 성취가 없으면서도 우월한 존재로 인정되기를 기대함).

(2) 무한한 성공, 권력, 탁월함, 아름다움 또는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공상에 집착한다.

(3)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한 존재라고 믿으며, 특별하거나 상류층의 사람들만이 자신을 이해할 수 있고 또한 그런 사람들(혹은 기관)하고만 어울려야 한다고 믿는다.

(4)과도한 찬사를 요구한다.

(5)특권의식을 가진다. 예컨대, 특별대우를 받을 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특별대우나 복종을 바라는 불합리한 기대감을 가진다.

(6) 대인관계가 착취적이다. 예컨대, 자기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인들을 이용한다.

(7) 감정이입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타인들의 감정이나 욕구를 인식하거나 확인하려 하지 않는다.

(8) 흔히 타인을 질투하거나 타인들이 자신을 질투하고 있다고 믿는다.

(9) 거만하고 방자한 행동이나 태도를 보인다.

라는 용어는 연못에 비친 자신의 아름다운 얼굴을 너무 사랑하여 연못 속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그리스 신화 속의 인물 Narcissus에서 연유한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과도한 자기 사랑과 자기도취로 인해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하는 장애이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자는 자신을 남들이 평가하는 것보다 현저하게 과대평가하여 웅대한 자기상에 집착하며 대단한 탁월함과 성공을 꿈꾼다. 따라서 자신은 주변 사람들과는 다른 특별한 존재이며 특별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특권의식을 지니게 되어 매우 거만하고 오만한 행동을 나타낸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칭찬하고 찬양해주기를 바라며, 그렇지 않을 때는 주변 사람들을 무시하거나 분노를 느낀다. 이들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고 느끼는 공감능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대인관계에서 매우 자기중심적이고 일방적이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거나 잦은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반응형

 
아울러 과장되어 있는 웅대한 자기상이 현실세계 속에서는 자주 상처를 입게 되므로 우울해지거나 분노를 느끼게 된다.

자기애성 성격은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구분되기도 한다.(Wink, 1991). 외현적 자기애(overt narcissism)는 제삼자가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자기애적 속성이 외적으로 드러나는 경우로서 DSM-5에 제시된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진단기준에 잘 부합된다.

반면, 내현적 자기애(covert narcissism)는 겉으로는 잘난 척하거나 거만한 자기애적 행동특성을 잘 나타내지 않지만 내면의 깊숙한 곳에 자기애적 성격특성을 지니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외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보이는 사람은 자신만만하고 외향적이며 타인의 반응에 개의치 않고 자기주장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반면, 내현적 자기애를 지난 사람은 수줍고 내향적이며 타인의 반응에 매우 민감하며 조심스러운 행동을 나타낸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유병률은 일반인구에서 1% 미만이며 임상 환자집단에서는 2~16%였다는 보고가 있다. 이 성격장애로 진단되는 사람의 50~75%는 남성이다. 자기애적 성향은 사춘기에 흔하지만 이러한 성향이 나중에 반드시 성격장애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 육체적, 직업적 한계에 직면하게 될 때 어려움을 겪는다. 우리 사회에서 흔히 회자되는 ‘왕자병’ 또는 ‘공주병’이라는 용어는 자기애성 성격과 가장 관련성이 깊을 것이다.

 

 
2023.04.03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현 인지이론에서는 편집증을 ‘자기(self)’에 대한 위협과 방어로 보고 있다. Zigler와 Glick(1988)의 이론에서는, 편집증은 낮은 자존감에 대한 방어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