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편집증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

임상심리학/심리치료

by 셀리스트 2023. 4. 4. 20:10

본문

반응형

편집증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


편집증성격을 보이는 사람들은 강한 부정적 자기 평가적 신념을 보이며 늘 불안하고 회피적이고 우울하므로, 그러한 정서-행동적 고통과 장애를 경감시키려 하는 인지적 접근을 시도하기 쉽고, 치료자와 내담자 간에 갈등의 소지가 더 적다.

또한 이들은 자신이 한 나쁜 일을 고백하면서 자신의 악함(badness)을 치료자에게 노출함으써 비난받고 거부당할 위험을 무릅쓰는 셈이다.

다시 말하면 그가 가장 두려워하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고, 이는 그 자체로 강력한 수치심 공격하기 연습이 된다.

치료자는 그 사람의 행동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비난할 수 있지만 그 사람 자체를 공격하거나 거부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내담자는 예견된 공격과 압도적 수치심을 경험하지 않으며, 자기가 한 '안 좋은' 행동들에도 불구하고 타인이 자신을 수용해 줄 수 있음을 알게 된다. 

 

반응형

 
반대로 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한 염려와 관심을 표현하기가 더 어렵다. 대개 치료자에게 자신의 신념을 믿는지 못 믿는지 말해 달라고 요구하며, 자신이 또다시 오해받고 부당한 대우를 받으리라는 강한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갈등이 생길 확률이 높고 평가과정에서 탈락되기 쉽다.

두 유형의 편집증 모두에서 가장 흥미로운 사실은 편집증 내에 내적인 모순이 있다는 것이다.

'나쁜 나(bad me)' 편집증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자기 생각을 읽을 수 있고 자기의 악함(badness)에 대해 다 알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다른 사람이 자신의 악함(badness)을 발견하고 처벌하지 않을까 매우 두려워한다.

이러한 비일관성을 일깨워줌으로써 '타인이 내 생각을 알 것이다(mind reading)'라는 망상의 확신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피해 편집증 환자는 자신이 실제로 박해를 당한다고 주장하면서도 경찰이나 변호사가 아닌 심리치료자를 찾아오는 모순을 보인다.

치료자는 이러한 모순을 부드럽게 반영해 주고, 내담자가 도움을 구하고자 하는 것은 망상과 관련된 심리적 취약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출처 -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3.03.13 - [심리건강치유] - 불면증을 위한 8가지 관리법

불면증을 위한 8가지 관리법

불면증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 불면증의 일반적인 심리적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안 - 사람들은 불안할 때 반추하고 걱정하는 경향이 있어 잠들거나 잠들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우울증 -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