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편집증의 신념 '불쌍한 나(poor me)'와 '나쁜 나(bad me)'에 대한 ABC평가

임상심리학/심리치료

by 셀리스트 2023. 4. 3. 23:55

본문

반응형

편집증의 신념 '불쌍한 나(poor me)'와 '나쁜 나(bad me)'에 대한 ABC평가

 

치료자의 핵심 과제는 우선 내담자를 치료과정에 참여시키고 다음에는 망상적 추론신념과 자기와 타인에 대한 평가적 신념을 파악하는 것이다. 처벌 편집증의 경우는 부정적 타인에 대한 평가적 신념을 파악하는 것이다.

처벌 편집증의 경우는 부정적 타인-자기 평가나 자지-자기 평가가 의식 수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작업이 비교적 쉽지만 피해 편집증의 경우는 분노감이 강하고 의식 수준에서는 부정적 자기 평가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치료에 개입시키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1. 피해편집증: '불쌍한 나(poor me)'

1. 피해 편집증의 심리적 동기는 무시당하는 느낌, 하찮은 존재라는 느낌과 관련된 공허감 및 절망감을 방어하기 위함이다. '내 흉을 보는 것이 차라리 내 얘기를 안 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이다. 여기서 치료자의 과제는 내담자로 하여금 망상을 넘어서서 내면의 취약성에 대해 깨달을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사고사슬법과 소크라테스식 대화를 사용하되,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먼저 망상을 명료화한다. 이는 '망상이 만약 사실이 아니라면' 하고 가정해 봄으로써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에서 자기-자기 평가(자기가 스스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가 어떠한지를 찾아낸다.
 

반응형

 

2. 처벌 편집증: 나쁜 나(bad me)'

처벌편집증을 평가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ABC 평가를 하고 의식 수준에 있는 부정적 자기 평가를 찾아낸다. 일단 부정적 자기 평가를 명확하게 찾아내고 나면, 이러한 신념과 문제가 되는 관련 정서와 행동을 파악하고 이것이 어떻데 편집증 및 초기 아동기와 연결되는가, 그리고 인지치료에서 어떻게 작업될 수 있는가를 탐색한다. 

내담자가 자신의 약점(badness)에 매우 집착해 있기 때문에 이 과제는 비교적 쉽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떤 종류의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가?


그 사람들이 당신을 그렇게 비난한다면, 당신 전체를 비난하는가 아니면 일부 행동만을 비난하는가?"등의 질문을 할 수 있다. 처벌 편집증에는 사고사슬을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한다. 첫째, 편집망상이 참이라고 가정한다. 둘째, 그런 가정하에서 타인-자기 평가의 특성이 어떠한지를 명료화한다.

즉 남들이 정말로 어떻게 당신을 생각한다고 보는지를 확인한다. 셋째 그와 관련하여 자기 - 자기부정적 평가를 명료화한다. 즉 그러한 자기 평가에 따라 자신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구체화시킨다.
 

2023.03.10 - [임상심리학/DSM-5] - A군 성격장애(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의 분류 -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

 

A군 성격장애(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의 분류 -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

A군 성격장애(Cluster A Personality Disorders)의 분류 편집성 성격장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0(F60.0) A. 다른 사람의 동기를 악의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등 타인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과

psychologymind.tistory.com

치료적 개입

피해 편집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진다.

첫째, 피해망상을 논박하고 검증하여, 이를 특정 경험(A)에 대한 반응이자 이를 이해하려는 시도로 다시 개념화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망상을 타인-자기 평가와 연결시킨다. 타인의 행동 속에서 암묵적인 평가적 위협을 내담자가 지각하고 있으며, 피해 자체뿐만 아니라 이러한 평가에 대해서도 분노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셋째, 방어벽 자기-타인 부정적 평가는 자기-자기 평가에 대한 방어라는 통찰을 준다. 넷째, 자기- 자기 평가를 논박하고 검증한다. 처벌 편집증에 대한 인지적 개입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내담자 자신의 악함(badness)에 대한 핵심적 부정적 자기 평가를 논박하고 검증한다.

둘째, 편집증을 낳게 한 것은 바로 자신이 악하다는 느낌(sense of badness)이라는 통찰을 갖게 한다. 셋째, 편집망상을 논박하고 검증한다.
 
 
출처 -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3.04.03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및 치료 편집증의 인지이론 현 인지이론에서는 편집증을 ‘자기(self)’에 대한 위협과 방어로 보고 있다. Zigler와 Glick(1988)의 이론에서는, 편집증은 낮은 자존감에 대한 방어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03 - [상담 심리학] - 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의 생애와 인간욕구 5단계설

 

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의 생애와 인간욕구 5단계설

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  (1908년4월 1일 ~ 2970년 6월 8일)는 ..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01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게슈탈트 심리치료이론

 

게슈탈트 심리치료이론

게슈탈트심리치료이론1. 프릿츠 펄스의 게슈탈트 탄생 <p data-ke-size..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