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호흡관련 수면장애 (Breathing- Related Sleep Disorders)진단기준

임상심리학/DSM-5

by 셀리스트 2023. 2. 23. 14:04

본문

반응형

호흡관련 수면장애 (Breathing- Related Sleep Disorders)

 

호흡관련 수면장애 분류는 3개의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장애를 포함하고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 저호흡,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그리고 수면관련 환기저하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 저호흡 (Obstructive Sleep Apnea Hypopnea)

진단기준 327.23(G47.33)

 

 

A. (1) 또는 (2) 중 하나 이상이 있다.

1. 수면다원 검사에서 수면 시간당 적어도 5회 이상 폐쇄성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있고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수면 증상이 있음

 

a. 야간 호흡 장애: 코골이, 거친 콧숨/헐떡임, 또는 수면 중 호흡 정지

b. 충분한 수면을 취했음에도 주간 졸림, 피로감, 또는 개운하지 않은 수면으로, 다른 정신질환(수면장애 포함)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님

 

2. 동반된 증상과 관계없이 수면다원 검사에서 확인된 수면 시간당 15회 이상 폐쇄성 무호흡 그리고/ 또는 저호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경도: 무호흡 저호흡 지수가 15이내다.

중등도: 무호흡 저호흡 지수가 15~30이다.

고도: 무호흡 저호흡 지수가 30을 초과한다.

 

 

 

DSM-5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반응형

 

수면관련 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SRBD)의 심리적 원인에 관한 설명

수면관련 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SRBD)는 생활의 질과 관련된 질환으로 유병율이 높다.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관련 호흡장애 중에 가장 흔하다. 전체 인구의 1-2%에서 발생하고 남성의 4%, 여성의 2%에서 발생한다.

반복적 기도폐쇄, 호흡기류 감소, 과도한 졸림, 두통 등 다양한 주간 수면 장애 증상으로 호소하며, 정신신경학적으로 주간기면증, 인지능력 장애, 불안, 우울 등이 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관련 호흡장애 환자의 정신의학적 증상들을 조사해 보고, 수면다원검사와의 연관성을 조사해 수면관련 호흡장애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한양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 수면관련호흡장애가 의심되어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 116명(OSA 84명, 대조군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심리 분석은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 List-90-Revision)를 실시하여 OSA군과 대조군의 정신의학적 증상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1. 연령분포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성별분포에서 OSA군에서 남성 비율이 유의하게 많았다. 체질량 지수는 OSA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주간기면지수의 평균 점수는 OSA군에서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두 군의 평균 총 수면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수면 효율은 OSA군이 더 낮았으며, REM 수면 비율 및 서파수면의 비율도 OSA군이 낮았다. 동맥혈 내 최저 산소 포화도는 대조군에서 더 높았고, 각성 지수는 대조군이 더 낮았다.

3. 간이정신진단검사에서OSA군의 신체화, 강박증, 우울증, 불안증, 전체 심도지수(Global severity index, GSI), 표출 증상합계(Positive symptom total, PST)척도의 평균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남녀 두 군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남성에서는 신체화, 우울증, 불안증, 전체 심도지수 척도의 평균 점수가 대조군보다 OSA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군에서는 우울증, 불안, 표출 증상합계 척도의 평균 점수가 OSA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수면관련 인자들과 OSA환자의 심리검사 척도 사이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총 수면 시간은 신체화, 우울증, 불안증 척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렘 잠복시간은 신체화, 강박증, 우울증, 불안증, 편집증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성지수(Arousal Index)는 신체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주간 기면 지수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증, 적대감, 공포불안, 정신증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렘수면시간과 무호흡-저호흡지수는 신체화 척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수면관련 호흡장애 전반에 대해 진단시 증상이 심할수록 정신의학적 증상과의 관련성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경미한 수면관련 호흡장애를 호소할지라도 초기단계에서부터 전반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남녀 사이에 주로 호소하는 정신의학적 증상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적절한 상담 및 아울러 향후 수면관련 호흡장애의 치료에 따른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점수 변화 및 치료하지 않았을 때의 장기적인 관찰 등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2023.04.30 - [임상심리학/DSM-5] -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진단기준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진단기준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 진단기준 307.42(F51.01) A.수면의 양이나 질이 매우 불만족감으로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과 연관된다. 1. 수면 시작이 어려움(아동의 경우 보호자의 중재없이는 수면개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5.22 - [임상심리학/DSM-5] - 환각제관련장애[Hallucinogen-Related Disorders] - 펜시클리딘사용장애(Phencyclidine Use Disorder)

 

환각제관련장애[Hallucinogen-Related Disorders] - 펜시클리딘사용장애(Phencyclidine Use Disorder)

환각제 관련장애[Hallucinogen-Related Disorders]의 종류 펜시클리딘사용장애 기타 환각제사용장애 펜시클리딘 중독 기타 환각제 중독 환각제 지속성 지각장애 기타 펜시클리딘으로 유발된 장애 명시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4.06 - [임상심리학/DSM-5] -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Alternative DSM-5 Model for Personality Disorders)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 DSM-5 모델(Alternative DSM-5 Model for Personality Disorders)

성격장애에 대한 현재의 접근은 DSM-5의 II 편에 있으며, DSM-5를 위해 개발된 대안적 모델은 III 편에 제시되어 있다. DSM-5에 두 모델을 모두 포함시킨 것은 현재의 임상 활동과의 연속성을 유지하면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