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art1) PAI성격검사(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임상심리학/심리검사

by Mind Athena 2023. 3. 3. 02:22

본문

 

 

Part1) PAI성격검사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1. PAI의 역사적 배경

성격펑가질문지(personality.PAI)는1991년 미국의 심리학자 morey가 성격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검사로 임상장면에서 환자나 내담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자기보고형 검사입니다.

처음 소개 될 당시, 심리측정학적 관점에서 볼 때 기존 다른 검사들 보다 크게 향상된 검사, 최근에 제작된 성격검사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검사라는 평을 들었습니다. 개발 시에 중요한 구성개념을 둘러싼 이론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이 일치하도록 하였으며, 구성개념에 대한 분명한 이론적 진술은 자기보고형 도구 개발에서 주요한 지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PAS는 전체적인 PAI시행필요에 관한것을 사용자가 선별.결정할수 있도록 선별기재을 제공하였고.컴퓨터 평가에서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검사효과을 촉진할수있는 어떠한적응 검사을하도록 해줍니다.

반응형


2.PAI의 특징


PAI는 총 34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개의 타당성 척도, 11개의 임상척도, 5개의 치료척도, 2개의 대인관계 척도 등 서로 다른 영역을 평가하는 척도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중 10개의 척도는 해석을 용이하게 하고 복잡한 임상적 구성개념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해 개념적으로 유도한 3~4개의 하위척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임상적 적용 범위가 매우 넓고 심리측정으로 매우 정확하며 다른 척도 인벤토리의 새로운 선두주자로 부각 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성격검사와는 다른 여러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1) 환자 집단의 성격 및 정신병리적 특징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의 성격평가에 매우 유용합니다.


(2) 우울, 불안, 정신분열병 등과 같은 축 I 장애뿐만 아니라 반사회적, 경계선적 성격장애와 같은 축 Ⅱ 장애를 포함하고 있어서 DSM-IV의 진단분류에 가장 가까운 정보를 제공합니다.


(3) 대부분의 질문지형 성격검사가 양분법적 반응양식으로 되어있으나 PAI는 4점 평정척도로 이루어져 있어서 행동 손상 또는 주관적 불편감 수준을 측정, 평가 할 수 있습니다.


(4) 분할 점수를 사용한 부정적 반응 왜곡, 긍정적 또는 방어적 반응 왜곡의 탐지에 특히 유용합니다.


(5) 22개의 척도들을 4가지 군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중 환자의 치료동기, 치료적 변화 및 치료 결과에 민감한 치료척도, 대인관계를 지배와 복종, 애정과 냉담의 두 가지 차원으로 개념화하는 대인관계의 척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6) 각 척도는 3~4개의 하위척도로 구분되어 있어서 장애의 상대적 속성을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7) 문항을 중복시키지 않아서 변별 타당도가 높고 꾀병 지표, 방어성 지표, 자살가능성 지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지표가 있어서 유용합니다.


(8) 환자가 질문지에 반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임상장면에서 반드시 체크해야할 위기문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내용을 환자에게 직접 물어봄으로써 추가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임상척도의 의미를 평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런측면에서 PAI는 심리측정적으로 매우 믿을수있고 타당한 평가을 받고있습니다.(1993:schlosser.1992)



3.PAI의 신뢰도와 역사적 배경


성격평가질문지(personnality.PAI)는1991년 미국의 심리학자 morey가 성격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검토합니다. 문항의 수렴 및 변별 내용을 평가하고, 마지막으로 변별적 신뢰도 분석을 이용해서 사회적 바람직성을 평가하는 순차적 전략을 적용하였습니다.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유사하면서도 가장 많이 나타나는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해석에 편리하도록 하였습니다. 즉, 프로파일의 형태를 통해 해석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임상적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검사의 타당도를 검토하려면 내용타당도가 높아야 할 뿐만 아니라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에 관한 자료들이 축적 되어야 합니다.

한국판 PAI는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에 대한연구는 자기보고형 질문지 (MMPI.NEO-PI척도.BECK우울검사.BECK무망감척도.상태=특성불안검사.Maudsley의 강박행동질문지.건강염려척도.Bell대상관계검사.KIIPNAST등)와 평정척도(HAM-D.BPRS)도구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는데, 연구결과 수렴타당도와 매우높게 나왔습니다.

 


4. PAI실시방법


고등학생을 포함하여 대학생, 일반 성인 규준 뿐만 아니라 임상표본의 환자 규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검사지에는 지시문과 344개 문항이 들어 있고 답지와 같이 사용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답지는 수채점을 위한 것과 컴퓨터로 채점하기 위한 OMR카드가 있습니다.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기록지는 22개 척도와 하위척도의 원점수를 T점수로 환산하여 검사결과를 프로파일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고등학생, 대학생 및 성인용이 있습니다. 채점은 좌우측의 점선 부분을 찢어서 윗장을 떼어 내어 음영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척도와 하위척도 별로 수검자가 응답한 문항의 점수를 간단하게 더하기만 하면 채점을 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프로파일로 나타낼 때는 별도의 규준표를 찾을 필요가 없습니다. 수검자의 연령에 맞는 프로파일 기록지에 척도별로 되어 있는 원점수를 찾아서 이으면 프로파일을 쉽게 작성 할 수 있습니다.

 


1)타당성 척도 해석



비일관성척도(lnconsistency.ICN)
이척도는 경험적으로 도출한 유사한 내용의 문항에 대한 수검자의 반응일치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입니다.


저빈도척도(lnfrequency.INF)
이척도는 무선반응, 무관심, 부주의, 정신적 혼란 또는 독해력 결함 등으로 인해 문항에 대해 제대로 반응하지 못한 수검자들을 찾아내는데 유용합니다.


부정적 인상척도(negative lmpression.NIM)
이척도는 바람직하지 못한 인상을 과장하기 위해 반응을 왜곡하거나 또는 매우 기이하고 믿을 수 없는 증상과 관련된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상 집단과 외래환자 및 입원환자와 일부러 병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도록 지시했을 경우 수검자의 점수분포를 검토하여 선정하였습니다.


긍정적 인상척도(Positive lmpression.PIM)
이척도는 수검자가 바람직한 인상을 제시하거나 어떠한 사소한 결점도 부정하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임상척도 해석


신체적 호소척도Somatic Complaints.SOM)

이 척도는 신체적 기능과 건강과 관련도니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문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문항내용은 사소한 신체적 불편감을 반복해서 경험하는 것부터 중요한 신체기관의 역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체형 장애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척도는 전환.신체화.건강염려등 세가지 하위척도을 포함하고있습니다.



불안척도(Anxiety.ANX)

이척도는 불안을 경험할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임상적 특징을 측정합니다. 문항 내용은 불안의 여러 특징에 따라 반복되는 걱정, 주관적 염려감, 긴장과 스트레스에 따른 신체적 징후와 같은 매우 다양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불안관련 장애척도(Anxiety-Related Disorder.ARD)

이 척도는 불안장애와 관련된 세 가지 상이한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을 측정합니다. 문항은 공포증, 강박적 사고와 행동, 외상적 사건과 관련된 경험과 특정 대상이나 상황과 관련된 구체적 공포에 관한 내용들입니다. 이 척도의T점수가 91이상으로 현저히 상승할경우 세가지 하위척도가 모두 상승하기 쉽습니다.



우울척도(Depression.DEP)

이척도는 우울증후군에 공통적인 임상적 특징을 측정합니다. 문항내용은 회의주의, 부정적 기대, 주관적 불행감과 무감동, 기력저하 수면 및 식욕의 변화와 같은 신체적 징후를 포함한 여러 가지 특징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울척도 점수가 상승할수록 자살관념척도도 함께 상승합니다.
 
 


PAI검사( Perxonality Assessment Inventory)



미국의 심리학자 Morey가 개발한 심리검사이다. PAI검사는 주로 MMPI-2와 함께 논의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두 검사 모두 다척도 심리검사이고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PAI검사의 특징은 구성타당도가 높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성격과 정신병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심리검사로써 타당도가 높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