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게슈탈트 상담접근의 기초

상담 심리학/심리상담 이론

by 셀리스트 2023. 2. 22. 14:59

본문

반응형

 

 

게슈탈트 상담접근의 기초

 

<치료관계>
①실존적 만남은 나-너 관계이다., 나-그것 관계가 아니다.
②내담자와 상담자의 첫 만남부터 서로의 진정한 인간성을 알아차리는 순간들을 주고받는다.③개개인이 갖고 있는 독특성을 진정으로 이해받는 것은 서로와 믿을 만한 관계를 맞는 이런 맥락에서만 가능하다.

 

<전체성>
①상담자는 상담의 원칙에 따라 내담자의 행동적 측면, 생리적 측면, 정서적 측면, 인지적 측면, 그리고 영적인 측면 등을 내담자의 전체적 특성을 통합하게 된다.
②몸과 정신은 같은 현상의 양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로 동일한 것이다.

 

<자기조절>
①인간은 자기를 조절하려는 본능적이고 유기체적인 경향성을 갖고 있는 존재다.

②‘자기’란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 간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알아차림 체계로 정의한다.

③펄스는 “자기는 변화하는 접촉경계들이 있는 곳에 존재한다. 경계가 있고 접촉이 일어나는 곳이면 그곳에는 언제나 창조적 자기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것은 자발적이고 생생하게 경험되는 방식으로 게슈탈트를 형성한다.

④인간은 자신에게 무엇이 좋은지를 어느 정도 수준에서 알고 있다. 그런데 상담을 받으러 오는 사람은 이 건강한 자기조절 과정이 방해받고 왜곡된 경험을 한 사람들이다.

 

<상담자의 태도>
①상담자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서 자기 자신을 적극적이고 진실 되게 사용한다.

②심리치료자들이 내담자들에게 현상유지에 머물면서 저항할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그 기대대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1.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이론적 배경


-게슈탈트 치료는 독일출생 유대계 정신과 의사 프리츠 펄스(Fritz Perls)에 의해 창안된 심리치료이다. 그는 1926년 처음으로 전체로서 통합된 유기체 이론을 접하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후 1934년 남아프리카로 가 정신분석학회를 창립했다. 그는 여전히 정신 분석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 1942년 프로이트의 공격본능 이론을 비판하면서 그와 완전 결별했다.

 

1946년 미국으로 이주, 1950년 ‘알아차림(awareness)’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처음으로 “게슈탈트 치료”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960년 대 정신분석이 쇠퇴하고 실존주의 정신의학 사조가 들어오면서 게슈탈트 치료도 점차 인정받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실존주의적 정신의학이 지나치게 복잡한 개념과 언어적 사변 때문에 실망을 준 반면 게슈탈트 치료는 오히려 많은 관심을 끌게 되었다. 1970년 펄스가 77세의 나이로 죽었을 무렵 게슈탈트 치료는 유럽에서 가장 인기 있는 치료법의 하나가 되었다.

 

2023.02.22 - [임상심리학/DSM-5] - 탈 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진단 기준

 

탈 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진단 기준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진단기준 313.89(F94.2) A. 아동이 낯선성인에게 활발하게 접근하고 소통하면서 다음 중 2가지 이상으로 드러나는 행동양식이 있다. 1.낯

psychologymind.tistory.com

 


게슈탈트 치료는 카린 호나이의 정신분석 치료 이론, 골드슈타인의 유기체 이론, 빌헬름 라이히의 신체이론, 레빈의 장이론, 베르트하이머의 등의 게슈탈트 심리학, 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 라인하르트의 연극과 예술철학, 하이데거와 마르틴 부버 등의 실존철학 그리고 동양사상 중에서도 특히 도교의 선사상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탄생한 치료법이다. 이렇듯 게슈탈트 이론은 매우 개방적이다.

 

반응형


게슈탈트 치료는 정신분석을 포함한 요소주의 심리학에 반대하여 게슈탈트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종합적인 심리학 운동으로 나타났다. 게슈탈트 심리학이 지각연구에만 국한한데 반해 게슈탈트 치료는 그 적용 범위를 사고, 감정, 욕구, 신체감각, 행동 등 모든 유기체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게슈탈트 심리학의 이론 중에서 특히 다음의 관점들을 게슈탈트 치료이론에 도입했다.

 

①개체는 장을 전경과 배경으로 구조화하여 자각한다.
(예) 사진 속의 나는 전경이 되고 나머지 사람들은 배경이 된다.

②개체는 장을 능동적으로 조직하여 일관되고 의미 있는 전체로 지각하는 경향을 지닌다.

(예) 하루 중 많은 일을 했음에도 “오늘은 미뤄왔던 집안일을 했다.”

③개체는 자신의 현재 욕구를 바탕으로 게슈탈트를 형성한다.
(예) 동그라미를 보고는, 배고픈 사람은 빵으로, 놀고 싶은 사람은 공으로 지각한다.

④개체는 미해결된 상황을 완결 지으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예) 누군가의 방해로 대화가 끊어지면 다시 이를 완결 지으려고 한다. 

⑤개체의 행동은 개체가 처한 상황의 전체 맥락을 통하여 이해된다.
(예) 지하철에서 노래 부르며 지나가는 맹인의 행동은 한국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승객들의 동정심 등의 맥락 곳에서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펄스는 신체와 감각, 욕구, 사고 그리고 행동 등을 서로 분리된 현상이 아닌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로 보았다

 

 

2023.03.04 - [정신의학] - 람세이헌트 증후군(Ramsay Hunt Syndrome)

 

람세이헌트 증후군(Ramsay Hunt Syndrome)

람세이헌트 증후군이란? 람세이헌트 증후군은 노인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이 병에 걸리면 얼굴의 한쪽이 마비되거나, 물집이 생기면서 피부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한 쪽 귀에서 다른 쪽 귀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03 - [정신분석/프로이트 정신분석] - 대화 치유(talking cure)의 창시자,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사례

 

대화 치유(talking cure)의 창시자,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사례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사례 1880년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신경증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관심이 많았다. 그중 히스테리, 불안증 등의 증상을 가진 환자들을 획기적으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