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들

상담 심리학/심리상담 이론

by 셀리스트 2023. 2. 22. 14:42

본문

반응형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영향을 준 이론들

 

장이론


①쿠르트 레빈(Kurt Lewin)은 심리학에서 장이론의 창시자다. 펄스는 그에게 주변의 장과 관련하여 심리적 관계를 보는 법을 배웠다.

②레빈은 한 개인이 처한 당연히 자신을 포함한 환경적인 장의 맥락을 배제하고 그 사람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인간과 환경의 이러한 상호관련성은 게슈탈트 접근의 중심 개념이다. 나(내담자) = 환경 × 유기체로써의 나 × 치료자(상담자)


③레빈은 과거나 미래보다 ‘지금-여기’라는 심리적인 현재에 의해 행동이 결정된다고 확신하였다. 욕구는 장을 조직화 한다.

 


④게슈탈트 상담자들은 치료 작업을 할 때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어떤 욕구를 가진 개인을 염두에 둔다. 치료자 역시 장의 한 부분이므로 ‘중립성’, ‘객관성’을 주장하거나 고립된 개인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비과학적이며 결국 한계가 있다.


⑤펄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1951/1969).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만이 심리적 상황을 구성한다.” 이런 점에서 게슈탈트 접근은 인간의 문제를 체계적인 관점에서 보려는 최초의 심리치료 접근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⑥인간을 ‘유기체’ 또는 ‘유기체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체계적으로 상호의존 하는(동물적, 사회적, 영적인 욕구를 지닌) 생물학적 존재라는 점에서 인간의 역동적인 특성을 강조하기 위함인데 따라서 게슈탈트 상담은 진정으로 생태학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정신분석이론 수정
①펄스의 이론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펄스는 프로이트의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의 발달과정을 습득한 후 구강기의 발달과정에 수정을 가했다.


②그는 유아의 발달과정(태내기-치아전기-깨물기 단계-깨물고 씹기)에서 배고픔의 충동을 최초로 자세히 기술하였고, 이를 정신적인 신진대사에 비유하였다. 사람들이 새로운 정보를 다루는 방식, 이를테면 지식을 삼키는 태도는 흔히 그들이 음식물을 섭취하는 태도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③펄스는 섭식행동과 심리적 삶 간의 유사점을 많이 찾아냈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으로 아주 당연한 치아의 파괴적 행위를 억제하게 되면 이것이 나중에 살인이나 잔인함, 전쟁, 자기 학대 또는 자살 같은 해로운 방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고 보았다.


④펄스는 공격성의 개념도 프로이트와는 달리 ‘환경을 적절하게 변화시키기 위해 개인의 의지를 사용하는 것’이라는 생리적 기능의 의미로 재확립했다.


⑤또 펄스는 프로이트의 정신 구조(원초아-자아-초자아) 구분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정신세계가 보다 구조적이며,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는 하나의 ‘전체 자기’라고 생각하였다.성격 내부를 여러 조각들(원초아-자아-초자아)로 나누는 정신의 구성개념들이 성격의 분열을 조장한다고 주장하였다. 


⑥펄스는 인격의 전체성(wholeness) 또는 온전성을 강조했으며 자아를 ‘한 사람의 지금-여기의 경험’이라고 보았다. 게슈탈트 접근에서는 ‘그때-거기’가 아닌 ‘지금-여기’에 초점을 맞춘다. 왜냐하면 삶이란 살아가는 것이지 말로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⑦정신분석은 과거를 전경으로 두지만 게슈탈트 접근은 현재를 전경에 둔다.


⑧펄스는 프로이트의 불안(막무가내로 날뛰는 원초아의 욕구로 인한)에 대한 견해에도 반대한다. 불안은 ‘지금과 나중 간의 간장이다.’ 그는 창조적으로 표출되지 않는 흥분은 불안을 일으키며, 흥분 자체를 피하게 된다고 하였다. 흥분(욕구의 전환에 필요한 에너지)은 생명력이기 때문에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행동을 하게 하는 긍정적 요소다. 어떤 형태로든 흥분 에너지를 방해받게 되면 그 사람의 활력은 줄어들게 된다.


⑨프로이트의 무의식이라는 용어에 대해서도 반대한다. 게슈탈트 상담에서는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성격 내에 다다를 수 없는 영역이라기보다는 ‘알아차림’이라는 기능적 개념에 대한 전경과 배경이 교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무의식이란 ‘지금 이 순간에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이라는 말을 선호한다.


⑩빌헬름 라이히(William Reich, 1972)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서적 기억과 그에 대한 방어를 자신의 근육과 내장기관에 ‘저장’해 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생리적 억제는 외상 경험을 신체적으로 서둘러 완결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어릴 적에 성폭행 경험이 있는 여성이 질 경련을 보이는 경우가 그러한 예다. 따라서 게슈탈트 접근에서는 심리적인 통합과 에너지를 표출하는 주요 통로로서 ‘감각하는 신체(sensing body)’에 초점을 맞춘다.

 

 

2023.03.06 - [임상심리학/DSM-5] - 사건수면(Parasomnia)/비급속안구운동수면 각성장애(Non- Rapid Eye Movement Sleep Arousal Disorders) 진단기준

 

사건수면(Parasomnia)/비급속안구운동수면 각성장애(Non- Rapid Eye Movement Sleep Arousal Disorders) 진단기준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3.06 - [임상심리학/사회경제심리학] - 뮌하우젠증후군(Munchausen's syndrome)- 꾀병을 부리거나 자해로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는 증상

 

뮌하우젠증후군(Munchausen's syndrome)- 꾀병을 부리거나 자해로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는 증상

뮌하우젠증후군(Munchausen's syndrome) 뮌하우젠 증후군: 꾀병을부리거나 자해로 타인의 관심을 얻으려는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부모로부터 배척당했던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인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