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동-공격성 성격장애(Passive and 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의 특징

임상심리학/이상심리학

by 셀리스트 2023. 3. 3. 01:33

본문

반응형

 

 

수동-공격성 성격장애(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PAPD)에 대한 현재의 진단 기준은 권위적 인물을 향한 반항적 행동들의 집합체를 일컫는 용어에서 출발하여, 보다 더 차원적인 구성 개념인 거부적 성격(negativistic personality)을 통합하는 형태로 발전된 것이다(DSM-IV-TR: APA,2000;million,1969,1981). PAPD의 핵심 특징은 적절한 사회적, 직업적 수행을 위해 부과되는 외부의 요구를 적대적으로 소홀히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적 저항과 반항적 양식은 고의적인 꾸물거림, 권위에 대한 저항, 논쟁적 태도, 항의, 의사 방해 등으로 나타난다. 마감 시간을 좀처럼 맞추지 않으며, 마감 시간을 맞추지 못한 것에 대해서 '건망증'으로 핑계를 대거나, '권위자'의 불합리한 요구 혹은 비현실적 기대를 탓하고, 심지어는 애초부터 마감 시간을 정하는 데 공정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며 외부로 비난의 화살을 돌린다(Ottaviani,1990).


이렇게 수동적으로 나타나는 저항적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상당한 좌절감을 불러일으키며, 개인적, 사회적, 직업적 관계에서의 긴장을 초래하게 된다. 주변 사람들은 의무와 기대를 저버리는 이들의 행동에 분노를 느끼고, 이를 직면시키려 하게 된다.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은, PAPD 환자들이 주어진 일을 태만히 하거나 고의로 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이나 지도를 이끌어 내려고 한다는 것이다.


Millon의 구성 개념인 '거부적 성격'은 PAPD 진단에 현상학적, 심리 내적, 생물 신체적 영역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추가적인 임상적 영역을 은 PAPD의 전형적인 특성들 (분노 표현 양식, 상반된 대인관계 양식, 회의적인 인지, 불만스러운 자기상, 동요하는 대상, 전치 기제, 분산된 조직화, 성마른 기분 등)을 잘 적시하고 있다. 또한 이 영역들과 연관하여, 오해를 받는 느낌, 강렬한 양가감정, 쀼루퉁함 등의 특성이 나타난다.

 

(million&Davis,1996) PAPD에 대한 이러한 차원적인 접근을 통해서, 진단적인 감별 및 전체적인 평가가 더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으며, 임상적 정보에 입각한 치료 계획의 수립도 가능하게 되었다.


PAPD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화나 있고 특권의식을 지니며 비일관적이고 상반된 대인관계 양식에서 이들의 중요한 사회적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동료를 찾아 나서다가도, 강렬한 양가감정으로 인해 자신이 찾던 바로 그 동료를 거절하고 따돌리게 된다. 이들은 수동적으로, 때로는 능동적으로 자신의 분노를 드러낸다.

 

반응형

 

예를 들어, 이들은 회의에 한 시간 늦게 나타나기도 하고, 더 교묘하게는 직장에 늘 15분씩 지각하기도 한다. 이들은 15분 연장근무를 해서 늦은 15분을 보충하겠다고 제안하면서, 문제 될 것이 없는데 왜 사람들은 이 '타협책'을 받아들이지 않는지 의아해한다. PAPD환자들은 치료 과정에서도 의사진행 방해, 반항, 꾸물거림, 언쟁, 치료에 대한 비협조 등을 통해 자신의 양가감정을 드러낸다.


PAPD의 핵심적인 특징은, 단순히 삶의 상황에 대해 화나 있는 것을 넘어서서(Ottaviani,1990),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으려는 만성적인 경향이다(Wetzler&Morey,1999). 이 진단의 용어가 함축하는 것처럼, 수동-공격적인 사람들은 논쟁적이고, 심술궂고, 남에게 동조하지 않고, 신경질을 내는 등 은밀하고 수동적인 방식으로 적대감을 표현한다.

 

수동-공격적인 환자들은 또한 뾰로통하거나 언짢아하거나 양가적인 모습을 보인다.(million,1969). Malinow(1981)가 언급한 것처럼, "수동-공격성이라는 용어 자체가 양가적이며 역설적이다." 적극적 양가성에 대한 million(1981;million&Davis,1996)의 기술은 PAPD환자의 동요적인 본질을 잘 구체화해 주고 있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자신을 돌봐 주고 삶을 만족스럽게 해줄 누군가를 원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율성이나 자유를 잃고 싶어 하지 않으며, 자신이 의존하는 사람 혹은 권위자로부터의 지시나 권력 행사에 분노한다. 강렬한 의존성과 사람 혹은 권위자로부터 지시나 권력 행사에 분노한다.

 

강렬한 의존성과 자율성 사이의 어딘가에서 올무에 사로잡힌 채, 이들은 결코 만족감을 느낄 수 없는 심한 고뇌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존하는 만족 결여의 상태는 Schneider(1958)가 정의한 '신경질적인 우울 (ill-tempered depression)'의 증상과 유사하다.

 

2023.04.06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우울증의 인지행동치료

 

우울증의 인지행동치료

우울증의 인지행동치료 인지치료 이론은 부정적 신념이나 역기능 정보처리 방식을 수정하는 것이 부정적 감정이나 행동의 수동성을 완화시킨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인지적 변화는 여러 가지

psychologymind.tistory.com

 

인생의 재난과 부정적인 선회는 어떻게든지 서로 연결되어 자신에게로 향한다고 믿고, 외부적인 요구를 개인적인 모욕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수동-공격적인 사람들의 전반적인 회의주의는 자아도취적인 분위기를 띤다. PAPD의 전반적인 거부적 태도는 자기 패배적이며, 바로 이러한 본질 때문에 자기 충족적으로 되어 간다(Stone, 1993a)



출처 - 성격장애의 인지치료,Aron T. Beck, Arthur Freeman, Denise D. Davis, & Associates 공저, 학지사



2023.03.05 - [임상심리학/DSM-5] - 혈관성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Major or Mild Vascular Neurocognitive Disorder)진단기준

 

혈관성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Major or Mild Vascular Neurocognitive Disorder)진단기준

혈관성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 (Major or Mild Vascular Neurocognitive Disorder) 진단기준 A. 주요 또는 경도 신경인지장애의 기준을 충족한다. B. 임상적 특징은 다음 중 어느 하나가 제시하는 바와 같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