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망상(delusion)의 종류

임상심리학/심리학 용어

by 셀리스트 2023. 3. 1. 14:23

본문

반응형

 

망상(delusion)의 종류


망상 [delusion]: 병적으로 생긴 잘못된 판단이나 확신. 사고(思考)의 이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사고는 사로(思路) 즉, 사고형식 및 그 내용으로 일단은 구별할 수 있으며, 망상은 이 사고내용의 이상을 말한다.

내용은 비합리·비현실적이라는 점이 첫째 특색이고, 감정으로 뒷받침된 움직일 수 없는 주관적 확신을 가지고 고집하는 점이 둘째 특색이다. 따라서 이 첫째와 둘째의 특색을 망상과 마찬가지로 가지면서, 그 비합리성에 관한 내부적 비판과 고뇌를 나타내는 강박관념과는 그 내부적 비판과 고뇌가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그 잘못된 사고내용은 어떠한 합리적 논거로써 설득하여도 앞서 말한 특색을 수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미신이나 논리적 착오로 인한 잘못된 관념과도 구별된다. 망상은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독일의 정신의학자 H.그룰레나 야스퍼스와 같이 아무런 근거도 없는 관계부여에 의한 이해불능과 전도불능(轉導不能)인 기질적(器質的) 원인에 의한 망상(예:정신분열의 원초적·근원적 망상), 환각과 같은 이상체험을 설명하기 위해 형성된 망상

(예:자기의 행동을 비난하는 환청을 설명하기 위해 텔레비전으로 끊임없이 감시받고 있다고 하는 것과 같은 피해망상. 및 병적 감정으로 인한 망상(예:노인의 질투망상, 억울병자의 심기망상이나 미소망상 등)으로 나누고, 전자를 진성망상(眞性妄想), 후자의 두 경우를 망상적 관념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원초적 망상이 있으며, 이에 근거를 부여하기 위해 새로 생기는 망상을 제2차 망상이라고 할 때도 있다. 또한 동기가 불명하다고 하는 망상의 형성이 과연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것인지에 관해서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 발전한 역동정신의학(力動精神醫學)의 학자들은 부정적이나,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이론의 여지가 없는 정설은 아니다.

망상에는 또한 그 내용에 따라 빙의망상(憑依妄想:신이나 동물이 자기 몸에 실렸다고 믿는 망상)과 과대망상 또는 피해망상·추적망상(追跡妄想) 등 여러 가지가 있다.

 

2023.03.21 - [정신분석] - 자끄 라깡(신 프로이트학파) : 상상계의 영역은 거울의 전당(hall of mirrors)이다.

 

자끄 라깡(신 프로이트학파) : 상상계의 영역은 거울의 전당(hall of mirrors)이다.

자끄 라깡(신 프로이트학파) : 상상계의 영역 자끄 리깡(1901~1981)은 수십 년 동안 프랑스 정신분석학계를 이끌었고, 그의 연구는 유럽과 남미 정신분석학계에서 지배적 인위 치를 차지한 현대 정

psychologymind.tistory.com



① 과대망상 [誇大妄想, delusion of grandeur]: 자신의 지위·재산·능력·용모·혈통 등을 과장하고 그것을 사실로 믿는 증상. 자신이 아주 위대한 인물이거나 특별한 능력(돈·권력)을 가졌다고 여기는 증상이다. 이를테면 자신이 초능력 인간이 되었다거나, 또는 영적인 힘을 지니게 되어 무슨 일이든지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이런 증상은 자신의 열등감·패배감·불안감 등을 보상하기 위해 노력하다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과대망상인 사람은 자신의 중요성이나 능력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돈을 쓰거나 일을 벌여 경제적 또는 법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정신분열증이나 기질성 정신장애보다는 조증(躁症)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자신이 유명한 사람의 자손이라고 믿는 혈통망상, 종교적으로 영적인 힘을 지녔다고 믿는 예언자망상 등이 포함된다.


② 피해망상 [被害妄想, delusion of persecution]: 자신이 타인으로부터 부당하게 박해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증상. 정신분열병이나 편집장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부당하게 괴롭히고 속이며 고통을 주고 피해를 입히려 하고 인생을 비참하게 만들려 하며, 심지어는 자신을 죽이려 한다고 믿는다. 이런 증상은 환자 자신의 결함이나 적개심·불만이 다른 사람에게 투사되어 그들이 자신을 해칠 것이라고 믿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망상의 형태도 다양하여 그럴듯한 내용에서 비현실적인 내용까지 각양각색이지만, 주관적인 경향이 강해 논리적으로 설득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더구나 망상이 계속되면서 점차 현실감을 잃어버리므로, 그 생각이 틀렸다고 설득할 경우 오히려 망상이 더욱 굳어지고 위협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대표적인 피해망상의 형태로는 누군가 자신을 미행한다는 추적망상, 자기를 죽이려고 음식에 독을 탔다고 믿는 피독망상, 자신이 감시당하고 있다고 여기는 관찰망상 등이 있다. 이들 증상은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사실이 모두 자신과 관련되어 일어난다고 믿는 관계망상에서 비롯된다.


관계망상 [不貞妄想, delusion of infidelity]: 부인 또는 남편이 상대방의 정조(貞操)를 의심하는 망상성 장애의 하나. 다른 정신과적인 증세가 없는데도 배우자가 성적으로 부정한 행동을 하여 자신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망상적인 증거를 기본으로 하는데, 치료에 대해 저항적이며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은 배우자를 의심하다가도 아니라는 증거가 확실하면 믿는다.


그러나 이 질병 환자들은 아니라는 증거가 확실해도 믿지 않고 오히려 배우자가 부정하다는 증거를 찾고 싶어한다. 또 배우자가 불륜을 저질렀다는 망상에 따른 행동이상을 동반한다. 보통 전체 인구의 1~4% 정도는 이 질병 환자이고, 대부분 35~55세 사이에 발병한다. 사회적 요인, 성윤리 의식변화, 매스컴, 피임방법 개발 등으로 인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주로 편집증적 성격을 지닌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 의존성이 강해서 배우자가 옆에 있어야만 안심하는 사람, 질투가 많고 독점력이 강한 성격의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

 

또 심리적으로 배우자에 대한 열등감, 동성애적 경향, 자신의 마음 속에서 부정한 행동을 하고 싶은 욕구가 있을 때 이러한 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알코올중독이나 편집증이 있는 부모 또는 지배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이 질병 환자들은 자신의 망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찾기 위해 도청, 녹음, 비디오 촬영, 미행, 폭력, 협박 등을 행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면에서는 정상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실제 치료로 연결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 의사도 환자의 망상 속의 한 인물이 되기 쉽기 때문에 정신과 질병 가운데 가장 치료하기 어려운 병으로 알려져 있다. 향정신성의약품을 사용한 약물치료, 정신치료, 부부치료 및 가족치료 등의 방법이 있다.


④ 관계망상 [關係妄想, delusion of reference]: 아무 근거도 없이 주위의 모든 것이 자기와 관계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며 자기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진 것이라고 생각하는 망상. 정신분열병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데 우울증 ·인성반응(因性反應) ·각성제 중독에서도 이 증세를 볼 수 있다. 다른 망상에 비해 관계망상은 기초적인 것이고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피해망상(被害妄想) ·주시망상(注視妄想) ·작위체험(作爲體驗) 등으로 발전한다. 과민성 관계망상은 일정한 논리적 근거가 있기는 하나 거기에 과도한 감정적 요소가 더하여 정상적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망상으로 발전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정신분열병에서 관계망상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감정의 강도만으로는 알아볼 수 없다.

 

2023.03.06 - [정신의학] - 캘캡Khyӑl cap(바람 공격)

 

캘캡Khyӑl cap(바람 공격)

캘캡Khyӑl cap(바람 공격): "캘 발작" 또는 "숨 발작"은 미국과 캄보디아에 살고 있는 캄보디아인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증후군걱정스러운 생각, 기립성 저혈압, 부정적인 관련성을 가진 특정한 냄

psychologymind.tistory.com



그 밖의 망상증

(1)대인관계에 관한 망상

ⓐ관계망상: 주위 사람들의 동작이나 표정이 모두
자신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주찰망상(注察妄想): 주변 사람들이 자기 한 사람을 특별하게 주목하고 있다고 의식하는 것이다.

ⓒ피해망상·박해망상: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압박·박해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소송망상: 다른 사람이 자신의 법적 권리를 침해하였다고 믿고, 이것을 법률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사람이 진술하는 법률적으로 불합리한 확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피해자-가해자 망상이라 부른다.

ⓔ질투망상: 남녀 관계에서 상대를 제3자에 결부시켜서, 상대가 자신으로부터 떠난다고 믿는 것으로 일종의 피해망상이다.

ⓕ영향망상: 자신의 모든 말과 행동이 타인의 영향하에 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기분의 고양에 따르는 과대적인 망상: 과대망상·건강망상·혈통망상 모두 자신의 능력·건강·지위 등에 관하여 현실과 동떨어지게 과대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피애망상(被愛妄想)은 애정관계에서 사실과는 다르게 사랑받고 있다고 확신하는 망상이다.


(2)침울한 기분에 따르는 비소적이며 자책적인 망상

(A)비소적·자책적망상의 유형

ⓐ 비소망상·빈곤망상·심기망상: 모두 자신의 능력·건강·지위 등에 관하여 현실과는 다르게 과소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 죄책망상: 자신의 죄업에 대하여 극단적이고 병적으로 과대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 영겁망상: 자신은 지금의 괴로움을 오랜 세월 계속 겪지 않으면 안되고, 자신에게는 죽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죄책망상의 극단적인 유형이기도 하다.



(3)비소적·자책적망상의 연구

망상이라는 정신병리현상은 환각과 함께 중요한 정신병리학연구의 주제로서 오늘날까지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망상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① 망상내용의 이상성(異常性), 그 발생 메커니즘의 비양해성(非諒解性)을 확실하게 밝히는 것

② 망상자의 기묘한 양해불가능한 말 속에 숨겨져 있는 전인간적 소리와 원하는 바를 깊이 양해하려는 입장이 있다.

전자는 증상론적 기록이며, 후자는 인간학적 의미를 통찰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2023.03.03 - [임상심리학/발달심리학] -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의 배경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의 배경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의 배경 레프 비고츠키 (Lev Semenovich Vygotsky Лев Семенович Выготский, 1896년 11월 17일 ~ 1934년 6월 11일)는 구소련의 인지심리학자로, 벨라루스 출신이다. 10년 정도의

psychologymind.tistory.com



카프그라 망상(capgras syndrome)

부모나 친구, 혹은 배우자 등 가까운 가족들의 얼굴이 똑 같이 닮은 다른 사람이라고 믿는 망상을 말합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어떤 조현병 환자는 집에 있는 어머니가 자신의 어머니를 똑같이 닮았지만 사기꾼이고 가짜이며 공문서를 위조해서 진짜 어머니로 둔갑해 있다고 믿고 공문서 위조로 어머니를 고소하기도 합니다.

가족이나 주변의 친구들과 같은 익숙한 얼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시각 경로를 통해 들어온 얼굴 자극과 상이 뇌의 측두엽에서 호의적인 감정 반응을 일으키는 편도체를 활성화시킵니다. 그러나 이 카프그라 망상이 있을 경우 뇌의 손상으로 인해 시각적 자극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으면서 가짜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믿는 현상이 생깁니다. 심지어 자기가 살고 있는 집도 위치는 같지만 가짜 같다고 믿기도 합니다. 기억착오와도 관련이 있어 보이지만 이 증상의 대상이 되는 인물과 갈등적인 역동이 심리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023.03.01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우울증의 치료

 

우울증의 치료

우울증의 치료 1. 일반적 치료 우울장애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인지치료와 약물치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한 우울증 환자는 대부분 약물치료와 함께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계속할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2.22 - [임상심리학/DSM-5] - 탈 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진단 기준

 

탈 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진단 기준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장애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진단기준 313.89(F94.2) A. 아동이 낯선성인에게 활발하게 접근하고 소통하면서 다음 중 2가지 이상으로 드러나는 행동양식이 있다. 1.낯

psychologymind.tistory.com

2023.02.22 - [임상심리학/심리치료] - 심리치료이론 : 합리적 정서행동 심리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심리치료이론 : 합리적 정서행동 심리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합리적 정서행동 심리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이 이론은 1956년 Ellis박사에 의해서 창안되었다. 1961년 인간의 정서적 측면을 ..

psychologymind.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